 |
각종 계량·측정기는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주위환경, 사용빈도, 내구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부정확하게 됩니다. - 생산제품이 세계시장에서 인정 받기 위해서는 계량·측정기의 정밀 정확도 확보가 기본입니다. | |
 |
- 생산공정에서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해준다. - 고기능성의 신제품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. - 기업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해 준다. - 각종 법규에서 요구하는 적합성을 확보해 준다. | |
 |
- 정확한 측정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- 적합한 측정환경 유지가 요구되고 - 국가측정표준과 소급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- 측정불확도의 이해가 필요하며 - 좋은 측정기술력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 | |
※ 이러한 규정을 지키지 않을 경우 측정결과에 대한 유효성은 물론 제품에 대한 신뢰성도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. |
 |
- |
측정은 이미 우리 생활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므로,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며, 이를 위해서는 계량ㆍ측정기의 주기적인 교정이 꼭 필요합니다. |
|
|
- |
정확한 계량ㆍ측정기의 사용은 제조업체 및 소비자의 이익과 직결됩니다. | | |
 |
- 모든 측정이 정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측정값에 대한 불확실한 정도를 나타내 주어야 합니다. - 측정에 있어 불확실한 정도를 측정불확도라고 하며, 이는 측정값에 존재하는 의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| |
 |
 |
- |
교정의 댓가로 지불하는 교정수수료는 계량ㆍ측정기의 교정에 소요되는 인적, 물적 비용과 국가측정표준과의 소급성 확보 및 유지향상을 위한 표준소급비용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. |
|
|
- |
표준소급비는 국제ㆍ국가측정표준에서 국가교정기관을 거쳐 산업체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통하여 표준소급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용에 사용되며, 그 혜택은 계량ㆍ측정기를 사용하는 산업체 및 시험ㆍ검사기관은 물론 최종적으로는 모든 국민에게 돌아갑니다. | | |
 |
- 국제측정표준과의 비교 - 국가측정표준의 개발 확립 및 유지향상 - 유효성이 검증된 표준교정절차서의 개발 보급 - 고급 정밀측정기술 인력 양성 - 국가교정제도 운영 지원 - 측정능력 향상을 위한 숙련도시험 프로그램 개발 운영 - 측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조사, 연구, 자료발간, 정보제공 등에 사용해 국제수준의 측정표준 보급에 기여합니다. | |
|